1. 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
②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35℃ 이하여야 한다.
③ 수화작용에 필요한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④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지반과 거푸집 등을 조사하여 콘크리트로부터의 수분 흡수로 품질변화의 우려가 있는 부분은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.
2.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방법(KS F 2414)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시험 중에는 실온(20±3)℃로 한다.
②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.
③ 최초로 기록한 시각에서부터 60분 동안 10분마다,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 나온 물을 빨아낸다.
④ 콘크리트를 블리딩 용기에 채울 때 콘크리트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(30±3)mm 높아지도록고른다.
3. 일반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제방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-결합재비는 45% 이하로 한다.
②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 물-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60% 이하로 한다.
③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-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% 이하로 한다.
④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현장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설계기준압축강도 보다 충분히 크게 정하여야 한다.
4.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일반적인 경우 슬럼프는 1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.
② 주로 생물체의 방호를 위하여 X선, γ선 및 중성자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사용된다.
③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는 열전도율이 작고, 열팽창률이 커야 하므로 밀도가 낮은 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.
④ 물-결합재비는 50%이하를 원칙으로 하고, 워커빌리티 개선을 위하여 품질이 입증된 혼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.
5. 한중콘크리트에서 주위의 온도가 2℃이고, 비볐을 때의 콘크리트의 온도가 26℃이며, 비빈 후부터 타설이 끝났을 때까지 90분이 소요되었다면, 타설이 끝났을 때의 콘크리트의 온도는?
① 20.6℃ ② 21.6℃
③ 22.6℃ ④ 23.6℃
6.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(PSC)를 철근콘크리트(RC)와 비교할 때 사용재료와 역학적 성질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부재 전단면의 유효한 이용
② 뛰어난 부재의 탄성과 복원성
③ 긴장재로 인한 자중과 전단력의 증가
④ 고강도 콘크리트와 고강도 강재의 사용
7.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일반적으로 기건 단위질량이 1.4~2.0T/m3 범위의 콘크리트를 말한다.
②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-결합재비를 정할 경우에는 50%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.
③ 천연경량골재는 인공경량골재에 비해 입자의 모양이 좋고 흡수율이 작아 구조용으로 많이 쓰인다.
④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보다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상당히 나쁘므로 시공시 유의하여야 한다.
8.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압송관의 호칭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25mm일 때 압송관의 호칭치수는 100mm 이상이어야 한다.
②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20mm일 때 압송관의 호칭치수는 100mm 이하여야 한다.
③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20mm일 때 압송관의 호칭치수는 125mm 이하여야 한다.
④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일 때 압송관의 호칭치수는 80mm 이상이어야 한다.
9.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탄산화가 진행된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 약화되어 콘크리트 자체가 팽창하여 파괴된다.
② 철근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콘크리트가 탄산화하여 물과 공기가 침투하면 철근을 부식시킨다.
③ 굳은 콘크리트는 표면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작용을 받아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바뀐다.
④ 탄산화의 판정은 페놀프탈레인 1%의 알코올용액을 콘크리트의 단면에 뿌려 조사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.
10.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는 안 된다.
② 콘크리트는 그 표면이 한 구획 내에서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타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③ 거푸집의 높이가 높아 슈트 등을 사용하는 경우 배출구와 타설 면까지의 높이는 1.5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.
④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, 상층의 콘크리트 타설은 하층의 콘크리트가 굳은 후 해야 한다.
11.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균열에 대한 시공상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?
① 단위시멘트량을 적게 한다.
② 1회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줄인다.
③ 수축이음부를 설치하고,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낮춘다.
④ 기존의 콘크리트로 새로운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이동을 구속시킨다.
12. 시방배합을 통해 단위수량 174kg/m3, 시멘트량 369kg/m3, 잔골재 702kg/m3, 굵은골재 1049kg/m3을 산출하였다. 현장골재의 입도를 고려하여 현장배합으로 수정한다면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양은? (단, 현장 잔골재 중 5mm체에 남는 양이 10%, 굵은 골재 중 5mm체를 통과한 양이 5%, 표면수는 고려하지 않는다.)
① 잔골재 : 802kg/m3, 굵은 골재 : 949kg/m3
② 잔골재 : 723kg/m3, 굵은 골재 : 1028kg/m3
③ 잔골재 : 637kg/m3, 굵은 골재 : 1114kg/m3
④ 잔골재 : 563kg/m3, 굵은 골재 : 1188kg/m3
13.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성형시에 가압양생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크게 된다.
② 물-결합재비가 일정할 때 공기량이 증가하면 압축강도는 감소한다.
③ 부순돌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강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크다.
④ 물-결합재비가 일정할 때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커진다.
14. 23회의 압축강도 시험실적으로부터 구한 표준편차가 5MPa이었다.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40MPa인 경우 배합강도는? (단, 시험횟수 20회일 때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는 1.08이고, 25회일 때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는 1.03이다.)
① 47.1MPa ② 47.7MPa
③ 48.3MPa ④ 48.8MPa
15. 고압증기양생한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고압증기양생한 콘크리트의 수축률은 크게 감소된다.
② 고압증기양생한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크게 감소된다.
③ 고압증기양생한 콘크리트의 외관은 보통양생한 포틀랜드시멘트 콘크리트 색의 특징과 다르며, 흰색을 띤다.
④ 고압증기양생한 콘크리트는 보통양생한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약 2배정도가 된다.
16. 소요의 품질을 갖는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를 얻기 위한 주입 모르타르의 품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굳지 않은 상태에서 압송과 주입이 쉬워야 한다.
② 주입되어 경화되는 사이에 블리딩이 적으며, 팽창하지 않아야 한다.
③ 경화 후 충분한 내구성 및 수밀성과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.
④ 굵은 골재의 공극을 완벽하게 채울 수 있는 양호한 유동성을 가지며, 주입 작업이 끝날때까지 이 특성이 유지되어야 한다.
17.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지깅 시험 ② 흐름 시험
③ 슬럼프 시험 ④ Vee-Bee 시험
18. 신축이음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신축이음에는 필요에 따라 이음재, 지수판 등을 배치하여야 한다.
② 신축이음은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.
③ 신축이음에는 인장철근 및 압축철근을 배치하여 전단력에 대하여 보강하여야 한다.
④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단 연결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19. 프리스트레싱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프리텐션 방식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40MPa 이상이어야 한다.
② 포스트텐션 방식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0MPa 이상이어야 한다.
③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후,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인장응력의 2.5배 이상이어야 한다.
④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후,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압축응력의 1.7배 이상이어야 한다.
20.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?
① 공기량 ② 평판재하
③ 슬럼프 ④ 펌퍼빌리티
2과목 : 건설시공 및 관리 |
21. 철륜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붙여 접지면적을 작게 하여 접지압을 증가시킨 다짐기계로 일반성토 다짐보다 비교적 함수비가 많은 점질토 다짐에 적합한 롤러는?
① 진동 롤러 ② 탬핑 롤러
③ 타이어 롤러 ④ 로드 롤러
22. 콘크리트 포장에서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현상은?
① spalling ② blowgup
③ pumping ④ reflection crack
23. 다음 중 표면차수벽 댐을 채택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?
① 대량의 점토 확보가 용이한 경우
② 추후 댐 높이의 증축이 예상되는 경우
③ 짧은 공사기간으로 급속시공이 필요한 경우
④ 동절기 및 잦은 강우로 점토시공이 어려운 경우
24. 로드 롤러를 사용하여 전압횟수 4회, 전압포설 두께 0.2m, 유효 전압폭 2.5m, 전압작업 속도를 3km/h로 할 때 시간당 작업량을 구하면? (단, 토량환산계수는 1, 롤러의 효율은 0.8을 적용한다.)
① 300m3/h ② 251m3/h
③ 200m3/h ④ 151m3/h
25. 터널공사에 있어서 TBM공법의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?
① 갱내의 공기오염도가 적다.
② 복잡한 지질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.
③ 라이닝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.
④ 동바리공이 간단해진다.
26. 어떤 공사에서 하한 규격값 SL=12MPa로 정해져 있다. 측정결과 표준편차의 측정값 15.MPa, 평균값 =18MPa이었다. 이때 규격값에 대한 여유값은?
① 0.4MPa ② 0.8MPa
③ 1.2MPa ④ 1.5MPa
27. 현장 콘크리트 말뚝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지층의 깊이에 따라 말뚝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.
② 말뚝선단에 구근을 만들어 지지력을 크게 할 수 있다.
③ 현장 지반 중에서 제작·양생되므로 품질관리가 쉽다.
④ 말뚝재료의 운반에 제한이 적다.
28. 암거의 매설깊이는 1.5m, 암거와 암거상부 지하수면 최저점과의 거리가 10cm, 지하수면의 경사가 4.5°이다. 지하수면의 깊이를 1m로 하려면 암거간 매설거리는 얼마로 해야 하는가?
① 4.8m ② 10.2m
③ 15.2m ④ 61m
29. 성토높이 8m인 사면에서 비탈구배가 1:1.3일 때 수평거리는?
① 6.2m ② 8.3m
③ 9.4m ④ 10.4m
30.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에 부분적인 균열, 변형, 마모 및 붕괴와 같은 파손이 발생할 경우 적용하는 공법을 표면처리라고 하는데 다음 중 이 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실 코트(Seal Coat)
② 카펫 코트(Carpet Coat)
③ 택 코트(Tack Coat)
④ 포그 실(Fog Seal)
31. 아래에서 설명하는 심빼기 발파공은?
① 노 컷 ② 벤치 컷
③ 스윙 컷 ④ 피라미드 컷
32. 샌드드레인(sand drain) 공법에서 영향원의 지름을 de, 모래말뚝의 간격을 d라 할 때 정사각형의 모래말뚝 배열 식으로 옳은 것은?
① de = 1.0d ② de = 1.05d
③ de = 1.08d ④ de = 1.13d
33. 아래의 표와 같이 공사 일수를 견적한 경우 3점 견적법에 따른 적정 공사 일수는?
① 4일 ② 5일
③ 6일 ④ 7일
34. 흙의 성토작업에서 아래 그림과 같은 쌓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전방쌓기법이다.
② 공사비가 싸고 공정이 빠른 장점이 있다.
③ 주로 중요하지 않은 구조물의 공사에 사용된다.
④ 층마다 다소의 수분을 주어서 충분히 다진 후 다음 층을 쌓는 공법이다.
35. 교량의 구조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누어진다. 다음 중 상부구조가 아닌 것은?
① 교대(abutment) ② 브레이싱(bracing)
③ 바닥판(bridge deck) ④ 바닥틀(floor system)
36. 보통토(사질토)를 재료로 하여 36000m3의 성토를 하는 경우 굴착 및 운반 토량(m3)은 얼마인가? (단, 토량환산계수 L=1.25, C=0.90)
① 굴착토량 = 40000, 운반토량 = 50000
② 굴착토량 = 32400, 운반토량 = 40500
③ 굴착토량 = 28800, 운반토량 = 50000
④ 굴착토량 = 32400, 운반토량 = 45000
37. 어스 앵커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영구 구조물에도 사용하나 주로 가설구조물의 고정에 많이 사용한다.
② 앵커를 정착하는 방법은 시멘트 밀크 또는 모르타르를 가압으로 주입하거나 앵커 코어등을 박아 넣는다.
③ 앵커 케이블은 주로 철근을 사용한다.
④ 앵커의 정착대상 지반을 토사층으로 가정하고 앵커 케이블을 사용하여 긴장력을 주어 구조물을 정착하는 공법이다.
38. 보강토 옹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기초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크다.
② 옹벽시공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필요 없다.
③ 전면판과 보강재가 제품화 되어 있어 시공속도가 빠르다.
④ 전면판과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재와 흙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토압을 지지한다.
39. 직접기초의 터파기를 하고자 할 때 아래 조건과 같은 경우 가장 적당한 공법은?
① 오픈 컷 공법 ② 아일랜드 공법
③ 어더피닝 공법 ④ 트랜치컷 공법
40. 버킷 준설선(Bucket dredger)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① 소규모 준설에서 주로 이용된다.
② 예인선 및 토운선이 필요없다.
③ 비교적 광범위한 토질에 적합하다.
④ 암석 및 굳은 토질에 적합하다.
3과목 : 건설재료 및 시험 |
41. 석재를 모양 및 치수에 의한 구분할 때 아래 표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?
① 각석 ② 판석
③ 견치석 ④ 사고석
42. 다음 ( )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?
① 강도(strength) ② 강성(stiffness)
③ 인성(toughness) ④ 취성(brittleness)
43. 수지 혼입 아스팔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신도가 크다. ② 점도가 높다.
③ 감온성이 저하한다. ④ 가열 안정성이 좋다.
44. 굵은 골재로서 최대치수가 40mm 정도인 것으로 체가름 시험을 하고자 할 때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으로 옳은 것은?
① 2kg ② 4kg
③ 6kg ④ 8kg
45.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한 콘크리트는 염화물이온 침투를 억제하여 철근부식 억제효과가 있다.
②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보다 콘크리트 내부의 세공경이 작아져 수밀성이 향상된다.
③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플라이애시나 실리카퓸에 비해 포틀랜드시멘트와의 비중차가 작아 혼화재로 사용할 경우 혼합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.
④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혼합율을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70% 혼합한 경우 탄산화속도가 보통콘크리트의 1/2정도로 감소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.
46. 금속재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연성과 전성이 작다.
② 금속 고유의 광택이 있다.
③ 전기, 열의 전도율이 크다.
④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결정형을 가진 고체로서 가공성이 좋다.
47. 콘크리트용 강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형상에 따라 직선섬유와 이형섬유가 있다.
②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는 200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.
③ 강섬유는 16℃ 이상의 온도에서 지름 안쪽 90°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부러지지 않아야 한다.
④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은 강섬유 5ton마다 10개 이상의 시료를 무작위로 추출해서 시행한다.
48. 목재의 건조법 중 자연건조법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?
① 끓임법 ② 수침법
③ 열기건조법 ④ 고주파건조법
49. 사용하는 시멘트에 따른 콘크리트의 1일 압축강도가 작은 것에서 큰 순서로 옳은 것은?
① 조강포틀랜트 시멘트 → 초조강포틀랜드 시멘트 → 초속경 시멘트 → 고로슬래그 시멘트
② 초속경 시멘트 →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→ 초조강포틀랜드 시멘트 → 고로슬래그 시멘트
③ 고로슬래그 시멘트 →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→ 초조강포틀랜드 시멘트 → 초속경 시멘트
④ 고로슬래그 시멘트 → 초속경 시멘트 → 조강포트랜드 시멘트 → 초조강포틀랜드 시멘트
50. 주로 잠재수경성이 있는 혼화재료는?
① 착색재 ② AE제
③ 유동화제 ④ 고르슬래그 미분말
51. 다음 중 시멘트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?
① 시멘트의 강도시험은 결합재료로서의 결합력발현의 정도를 알기 위해 실시한다.
② 시멘트는 저장중에 공기와 접촉하면 공기중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가벼운 수화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, 이것을 풍화라 한다.
③ 응결시간시험은 시멘트의 강도 발현속도를 알기 위해 실시한다. 초결이 빠른 시멘트는 장기강도가 크다.
④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수화열을 낮추기 위하여 화학조성 중 C3A의 양을 적게하고 그 대신 장기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C2S량을 많게 한 시멘트 이다.
52. 잔골재에 대한 체가름 시험을 한 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조립률은? (단, 10mm이상 체에 잔류된 잔골재는 없다.)
① 1.0 ② 2.63
③ 2.77 ④ 3.15
53.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하는 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KS F 2527(콘크리트용 골재)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. 다음 중 부순 잔골재의 품질을 위한 시험항목이 아닌 것은?
① 안정성 ② 마모율
③ 절대건조밀도 ④ 입형판정 실적률
54. 아스팔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아스팔트의 비중은 침입도가 작을수록 작다.
② 아스팔트의 비중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저하된다.
③ 아스팔트는 온도에 따라 컨시스턴시가 현저하게 변화된다.
④ 아스팔트의 강성은 온도가 높을수록, 침임도가 클수록 작다.
55. 아스팔트의 분류 중 석유 아스팔트에 해당하는 것은?
① 아스팔타이트(asphaltite)
② 록 아스팔트(rock asphalt)
③ 레이크 아스팔트(lake asphalt)
④ 스트레이트 아스팔트(straight asphalt)
56.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암석은?
① 안산암 ② 응회암
③ 화강암 ④ 현무암
57. 실리카 퓸을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사용할 경우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 단위수량과 건조수축이 감소한다.
② 콘크리트 재료분리를 감소시킨다.
③ 수화 초기에 C-S-H겔을 생성하므로 블리딩이 감소한다.
④ 콘크리트의 조직이 치밀해져 강도가 커지고, 수밀성이 증대된다.
58. 시멘트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(workability)를 증진시키기 위한 혼화재료가 아닌 것은?
① AE제 ② 분산제
③ 촉진제 ④ 포졸란
59. 터널 굴착을 위하여 장약량 4kg으로 시험발파한 결과 누두지수(n)가 1.5, 폭바반경(R)이 3m이었다면, 최소저항선 길이를 5m로 할 때 필요한 장약량은?
① 6.67kg ② 11.1kg
③ 18.5kg ④ 62.5kg
60. 골재의 함수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골재의 표면수는 없고 내부 공극에는 물로 차있는 상태를 골재의 표면건조포화 상태라고 한다.
② 골재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 전체 질량의 절대건조상태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의 표면수율이라고 한다.
③ 표면건조포화상태의 골재에 함유되어 있는 전체 수량의 절대건조상태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의 흡수율이라고 한다.
④ 골재를 100~110℃의 온도에서 일정한 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여 골재알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자유수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골재의 절대건조상태라고 한다.
4과목 : 토질 및 기초 |
61. A점토층이 전체압밀량의 99%까지 압밀이 이루어지는 데 걸린 시간이 10년이었다면 B점토층의 배수거리와 압밀게수가 압밀계수가 다음과 같을 때 99%의 압밀이 이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? (단, B점토층의 배수거리(H)는 A점토층의 2배이고, 압밀계수(Cv)는 A점토층의 3배이다.)
① 20/3 년 ② 40/3 년
③ 20/9 년 ④ 40/9 년
62. 다음 말뚝의 지지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말뚝의 지지력을 추정하는 데 말뚝 재하시험이 가장 정확하다.
② 말뚝에 부(負)마찰력이 생기면 지지력이 감소한다.
③ 항타 공식에 의한 말뚝의 허용지지려을 구할 때 안전율을 3으로 한다.
④ 연약한 점토지반에 대한 말뚝의 지지력은 항타 직후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한다.
63. 다음 토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어떤 지반의 정지토압계수가 1.75라면 이 흙은 과압밀상태에 있다.
② 일반적으로 주동토압계수는 1보다 작고 수동토압계수는 1보다 크다.
③ Coulomb 토압이론은 옹벽배면과 뒷채움 흙사이의 벽면 마찰을 무시한 이론이다.
④ 주동토압에서 배면토가 점착력이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보다 토압이 적어진다.
64. 다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 세립토가 많을수록 최적 함수비는 증가한다.
②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적 함수비는 감소한다.
③ 세립토가 많을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증가한다.
④ 다짐곡선이라 함은 건조단위 중량과 함수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.
65. 시료채취기(sampler)의 관입깊이가 100cm이고, 채취된 시료의 길이가 90cm이었다. 채취된 시료 중 길이가 10cm 이상인 시료의 합이 60cm, 길이가 9cm 이상인 시료의 합이 80cm이었따면 회수율과 RQD는?
① 회수율 = 0.8, RQD = 0.6
② 회수율 = 0.9, RQD = 0.8
③ 회수율 = 0.9, RQD = 0.6
④ 회수율 = 0.8, RQD = 0.75
66. 흙댐 등의 침윤선(Seepage line)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침윤선은 일종의 유선이다.
② 친윤선은 일종의 등압선이다.
③ 침윤선은 일종의 자유수면이다.
④ 침윤선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포물선으로 가정한다.
67. 그림과 같은 성층토(成層土)의 연직방향의 평균투수계수(Kv)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? (단, H1, H2, H3, … : 각토층의 두께, k1, k2, k3, … : 각토층의 투수계수)
68. 기초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평판재하시험 이용
② 탄성파시험결과 이용
③ 표준관입시험결과 이용
④ 이론에 의한 지지력 계산
69. 다음 중 사면의 안정해석방법이 아닌 것은?
① 마찰원법
② 비숍(Bishop)의 방법
③ 펠레니우스(Fellenius) 방법
④ 테르자기(Terzaghi)의 방법
70. 다음 삼축압축시험의 응력경로 중 압밀배수 시험에 대한 것은?
71. 말뚝 지지력 공식에서 정적 및 동적 지지력 공식으로 구분할 때, 정적 지지력 공식으로 구분된 항목은 어느 것인가?
① Terzaghi 공식, Hiley 공식
② Terzaghi 공식, Meyerhof의 공식
③ Hiley 공식, Engineering News 공식
④ Engineering News 공식, Meyerhof의 공식
72. 얕은 기초의 파괴 duddudr에 대한 아래 그림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영역 Ⅲ은 수동영역이다.
② 파괴순서는 Ⅲ→Ⅱ→Ⅰ이다.
③ 국부전단파괴의 형상이다.
④ 영역 Ⅲ에서 수평면과 45°+(ø/2)의 각을 이룬다.
73. 포화된 점토지반에 성토하중으로 어느 정도 압밀된 후 급속한 파괴가 예상될 때, 이용해야 할 강도정수를 구하는 시험은?
① CU-test ② UU-test
③ UC-test ④ CD-test
74. 어떤 모래의 비중이 2.78, 간극율(n)이 28%일 때 분사현상을 일으키는 한계동수경사는?
① 2 ② 4.5
③ 0.78 ④ 1.28
75. 어느 포화된 점토의 자연함수비는 45%이었고, 비중은 2.70이었다. 이 점토의 간극비(e)는?
① 1.22 ② 1.32
③ 1.42 ④ 1.52
76. 유선망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유선과 등수두선은 직교한다.
② 인접한 두 유선 사이의 유량은 같다.
③ 인접한 두 등수두선 사이의 동수경사는 같다.
④ 인접한 두 등수두선 사이의 수두손실은 같다.
77. Mohr의 응력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 Mohr의 응력원에서 응력상태는 파괴포락선 위쪽에 존재할 수 없다.
② Mohr의 응력원이 파괴포락선과 접하지 않을 경우 전단파괴가 발생됨을 뜻한다.
③ 비압밀비배수 시험조건에서 Mohr의 응력원은 수평축과 평행한 형상이 된다.
④ Mohr의 응력원에 접선을 그었을 때 종축과 만나는 점이 점착력 C이고, 그 접선의 기울기가 내부마찰각 ø이다.
78. 입도분석 시험결과가 아래 표와 같다. 이 흙을 통일분류법에 의해 분류하면?
① GW ② GP
③ SW ④ SP
79. 다음 중 피어(pier) 공법이 아닌 것은?
① 감압공법 ② Gow 공법
③ Benoto 공법 ④ Chicago 공법
80. 토질 종류에 따른 다짐 곡선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점성토에서는 소성이 클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작고 최적함수비는 크다.
② 조립토에서는 입도분포가 양호할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크고 최적함수비는 작다.
③ 조립토일수록 다짐 곡선은 완만하고 세립토일수록 다짐 곡선은 급하게 나타난다.
④ 조립토가 세립토에 비하여 최대건조단위 중량이 크게 나타나고 최적함수비는 작게 나타난다.
문제가 이해되지 않거나 더많은 기출문제를 보고싶으면 책을 구매하시는게 더 좋습니다(추천 필기책)
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
'건설 분야 > 건설 재료 시험 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 . 1회차 .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(정답포함) (0) | 2020.11.07 |
---|---|
2018 . 2회차 .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(정답포함) (0) | 2020.11.05 |
2019 . 1회차 .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(정답포함) (0) | 2020.10.22 |
2019 . 2회차 .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(정답포함) (0) | 2020.10.15 |
2020. 3회차 .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 (정답포함) (0) | 2020.09.26 |
댓글